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2025 윤달 있는 해 윤6월 손 없는 날 (이사,제사,이장)

by woojac 2025. 7. 22.
반응형

2025년 윤달의 뜻과 생기는 이유, 주기, 윤달에 하면 좋은 일과 피해야 할일, 윤달행사 이사,이장과 제사 날짜 어떻게 해야될 지까지. 윤달있는해.

 

 

 

 

 


윤달의 뜻과 생기는 이유

윤달(閏月)은 우리가 흔히 쓰는 음력 달력에서 태양의 움직임과 달의 주기 사이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넣는 ‘보너스 한 달’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음력은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것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는데, 1년은 약 354일밖에 되지 않습니다.

반면 태양을 기준으로 한 양력은 1년이 약 365.24일이기 때문에 매년 약 11일의 차이가 생기고, 이 차이가 누적되면 계절과 달이 엇나가기 시작하죠. 그래서 이를 맞추기 위해 약 2~3년에 한 번씩 윤달을 삽입합니다. 19년 동안 총 7번 윤달을 넣으면 음력과 양력의 오차를 거의 맞출 수 있는데, 이를 '메톤 주기'라고 합니다. 윤달이 들어간 해는 평소보다 한 달이 더 생기는데, 이 달은 특정한 12달 안에 삽입되어 '윤2월', '윤3월', '윤6월' 등으로 불립니다. 윤달은 계절을 따라 삽입되므로 아무 때나 오는 게 아니라 절기에 맞게 들어가며, 보통 겨울에는 잘 오지 않습니다. 2025년의 윤달은 음력 윤6월로, 양력으로는 7월 25일부터 8월 22일까지입니다. 과거 사람들은 이 윤달을 ‘공달’ 또는 ‘썩은 달’이라 부르기도 했는데요, 신이 사람을 감시하지 않는 특별한 달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자유로운 일이 가능하다고 믿었고, 현실적으로도 다양한 큰일을 이때 몰아서 하기도 했습니다.

제사 공동묘지이사

 윤달에 하면 좋은 일, 피해야 할 일

윤달은 전통적으로 ‘귀신도 모르는 달’이라 불릴 정도로 신적인 간섭이 덜한 달로 여겨졌습니다. 그만큼 원래는 꺼려지던 일들도 윤달에는 안심하고 할 수 있다고 봤죠. 그래서 예로부터 조상들은 이사, 수의 마련, 묘 이장, 집 수리, 사당 정리 등 크고 무거운 일을 윤달에 집중해서 하곤 했습니다.

특히 수의(壽衣), 즉 장례복을 마련하거나, 미리 유언장을 정리하거나, 조상 묘를 정비하는 일은 평소엔 부정 탄다고 꺼렸지만 윤달엔 오히려 적극 권장되던 일입니다. 이처럼 윤달에는 '부정을 타지 않는 달'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조심스럽고 신중해야 할 일을 이때 몰아서 해두자는 풍속이 생긴 것입니다. 반대로 요즘엔 윤달에 결혼이나 개업 등을 피하는 경향도 있는데, 이는 '윤달은 뭔가 이상한 달', '무속적인 느낌이 강한 달'이라는 오해에서 비롯됐습니다. 실제로는 윤달이 나쁜 달도 아니고, 반드시 무슨 일이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예로부터는 '무탈하게 처리하기 좋은 달'이라는 이미지가 더 강했습니다. 다만, 현대 사회에선 윤달에 일이 몰리는 경향이 있어 이사나 이장 등의 예약이 어려울 수 있으니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용도 성수기처럼 오를 수 있고요. 정리하자면 윤달에는 오히려 안심하고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지만, 현대에 와선 오해로 인해 좋은 일도 삼가는 분위기가 생겼다는 점을 기억해두면 좋겠습니다.

윤달과 관련된 행사. 이사·제사·이장

윤달이 되면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바로 ‘이사’입니다. 윤달은 귀신도 쉬는 달이라고 여겨, 전통적으로 ‘손 없는 날’로 간주되었는데요, 손 없는 날이란 이사를 해도 탈이 없다는 날을 말합니다. 음력으로 끝자리가 9나 0인 날(예: 9일, 10일, 19일 등)이 손 없는 날인데, 윤달 전체가 그런 날처럼 간주되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이사를 선호합니다. 윤달 이사의 가장 큰 장점은 심리적인 안정감입니다. 이사라는 큰 일이 부정 없이 잘 마무리될 수 있다는 전통적 신념은 현대인에게도 여전히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수요가 폭증하면서 이사 비용이 크게 오를 수 있으니 미리 예약하고 예산을 잘 짜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풍속은 ‘묘 이장’입니다. 조상의 묘를 옮기는 일은 보통 굉장히 조심스러운 작업인데, 윤달에는 부정이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이장을 많이 합니다. 2025년처럼 여름 윤달이 올 경우, 날씨와 토양 상태를 고려해 적절한 시기를 골라야 하겠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윤달은 ‘이장하기 좋은 때’로 여겨집니다.

제사나 주기(기일)를 윤달에 지내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지만, 보통 윤달을 피해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사는 ‘정확한 음력 날짜’를 중시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윤달이 삽입되었다고 해도 원래 날짜를 고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윤달이 들어간 해에는 제사를 두 번 지낼 필요는 없으며, 해당 월이 윤달이라면 다음 달로 넘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윤달은 조상과 관련된 일을 무탈하게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전통적 달입니다. 이사, 묘 이장, 수의 마련처럼 실용적이고 신중한 일들을 계획하기에 좋은 시기이며, 단지 미신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조상들의 지혜와 배려가 담긴 문화로 바라보는 시선이 필요합니다.

 

미래 윤달 날짜 미리 확인해보기

 

 

2025 여름 절기 뜻과 7,8월 날씨 전망(대서,입추,말복,처서)

2025년 7월 22일은 ‘대서’, 24절기 중 가장 더운 날입니다. 대서 뜻과 남은 여름 절기, 기상예보 비교를 통해 무더위 건강하게 보내는 법을 정리했습니다. ☀️ 한국의 가장 더운 날 '대서'란?📌

a.woojustar.com

 

복날 2025 초복중복말복 인사말 이미지 무료다운로드

2025 초복 7월20일 중복 7월30일 말복8월9일 입니다. 복날인사말도 빠질 수 없겠죠 이미지로 대체해서 인사하시는 분들이 많아 무료 이미지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세요. 복날 인사말 60가지 보러가기

a.woojustar.com

 

2025 올해 여름 무더위 언제까지 날씨전망

2025년 7월 여름, 최고기온 37도, 체감온도는 40도 이상! 온열환자 200명 이상 급증 속, 여름 절기와 8월 중순까지 이어질 기상청 무더위 예측 📌 목차👉 여름 절기 정리: 하지부터 추분까지👉 기상

a.woojustar.com

 

반응형

.myButton { box-shadow: 0px 2px 14px -7px #276873;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599bb3 5%, #408c99 100%); background-color:#599bb3; border-radius:13px;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ffffff; font-family:Arial; font-size:27px; font-weight:bold; padding:27px 55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5px 0px #3d768a; } .myButton:hover {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408c99 5%, #599bb3 100%); background-color:#408c99;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 .myButton { -moz-box-shadow: 0px 0px 16px 0px #276873; -webkit-box-shadow: 0px 0px 16px 0px #276873; box-shadow: 0px 0px 16px 0px #276873; background:-webkit-gradient(linear, left top, left bottom, color-stop(0.05, #d1f3ff), color-stop(1, #78c1cc)); background:-moz-linear-gradient(top, #d1f3ff 5%, #78c1cc 100%); background:-webkit-linear-gradient(top, #d1f3ff 5%, #78c1cc 100%); background:-o-linear-gradient(top, #d1f3ff 5%, #78c1cc 100%); background:-ms-linear-gradient(top, #d1f3ff 5%, #78c1cc 100%);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d1f3ff 5%, #78c1cc 100%); filter: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d1f3ff', endColorstr='#78c1cc',GradientType=0); background-color:#d1f3ff; -webkit-border-radius:13px; -moz-border-radius:13px; border-radius:13px; display:inline-block; cursor:pointer; color:#3508ff; font-family:Arial; font-size:27px; font-weight:bold; padding:27px 55px; text-decoration:none; text-shadow:0px 0px 0px #3d768a; } .myButton:hover { background:-webkit-gradient(linear, left top, left bottom, color-stop(0.05, #78c1cc), color-stop(1, #d1f3ff)); background:-moz-linear-gradient(top, #78c1cc 5%, #d1f3ff 100%); background:-webkit-linear-gradient(top, #78c1cc 5%, #d1f3ff 100%); background:-o-linear-gradient(top, #78c1cc 5%, #d1f3ff 100%); background:-ms-linear-gradient(top, #78c1cc 5%, #d1f3ff 100%); background:linear-gradient(to bottom, #78c1cc 5%, #d1f3ff 100%); filter:progid:DXImageTransform.Microsoft.gradient(startColorstr='#78c1cc', endColorstr='#d1f3ff',GradientType=0); background-color:#78c1cc; } .myButton:active { position:relative; top:1px; }